대표관료제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① 지역별, 성별 임용할당제(쿼터제)는 헌법상의 평등원리에 어긋나며 역차별의 문제가 있어 도입하기가 곤란하다.
- 아니다. 평등원리에 어긋나지 않는다. 도입하기 곤란한 것도 아니다.
- 임용할당제는 헌법의 평등원칙에 위배되거나 역차별문제가 있다는 논란이 일부 있기는 하다.
- 그러나 우리나라 등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를 도입하여 활용되고 있다.
- 즉 쿼터제는 대표관료제의 주요 기법이다.
- 실질적 평등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. 다만 역차별은 조심해야 함.
② 능력과 자격을 부차적인 임용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행정의 전문성과 생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.
- 그렇긴 하지.
③ 소외집단이나 소수집단의 공직취임기회를 확대하여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다.
- ㅇㅇ
④ 정책의 형성 및 집행과정에서 상이하거나 상충되는 각 집단 또는 계층의 이익이 골고루 반영될 수 있다.
- ㅇㅇ 그게 대표관료제
정답 1번
'행정학 > 기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산의 이용, 예비비, 계속비 - 공통점? (0) | 2018.11.07 |
---|---|
정부의 인사행정, 기업의 인사관리 (0) | 2018.11.07 |
집합재, 요금재, 공유지의 비극 등 (0) | 2018.11.07 |
정부의 예산안 제출, 국회의 예산안 의결 (0) | 2018.11.07 |